지하철 화재시 행동요령 대피하는 방법, 선로로 대피해도 괜찮을까?
- 생활정보
- 2025. 6. 1. 22:00
얼마전 5호선에서 안좋은 일이 생겼죠. 열차 안에서 갑자기 타는 냄새가 퍼진다면 어떨까요? 실제로 저도 몇 년 전 강남역 근처에서 타고 가던 중, 어딘가에서 매캐한 냄새가 나더니 안내방송이 들렸습니다. 다행히 큰 사고는 아니었지만, 그날 저는 솔직히 좀 겁이 났습니다. 그 후로 지하철 화재시 행동요령 대피하는 방법에 대해서 숙지했답니다.
이런 일이 생기면 안되겠지만 미리 대비하고 숙지해두는 것이 중요하기 때문에 정말 실질적이고 꼭 알아야 할 내용을 말씀드릴게요.
지하철 화재시 행동요령 대피하는 방법, 확인하기
상황 | 지하철 화재시 행동요령 대피하는 방 |
감지 전 | - 비상탈출 위치 확인- 이어폰 착용 자제 - 비상구 안내도 눈여겨보기 |
발생 인지 시 | - 당황하지 않고 낮은 자세 유지 - 젖은 손수건 또는 옷으로 입과 코 가리기 |
정차 후 대피 유도 시 | - 안내방송 또는 기관사 지시 우선 따르기 - 질서 있게 출입문 방향으로 이동 |
정전·문 안 열릴 때 | - 비상문 개방장치 수동 조작 (문 옆 레버 사용) - 출입문 열리지 않으면 객차 간 이동 |
대피로 확보 시 | - 선로 쪽으로 탈출 시 전차선 접촉 주의 (전기 위험) - 벽면 유도등 따라 이동 |
지하철 화재시 행동요령 대피하는 방법, 4가지 확인하기
1. 가방은 내려놓고, 손은 비우기
가방을 매고 대피하면 움직임이 둔해집니다. 양손이 자유로워야 넘어질 때 지지하거나 문을 열 수 있어요.
2. 객차 안 비상문 개방장치 위치 확인
보통 출입문 바로 옆 하단이나 측면에 있고, 커버를 열면 레버나 버튼이 있습니다. 당기거나 돌려서 문을 수동 개방할 수 있습니다.
3. 선로로 내려갈 땐 전차선 확인
전동차가 다니는 선로 옆쪽엔 전기 공급선이 깔려 있습니다. 무턱대고 내려가면 감전 위험이 커요. 되도록이면 객차 연결부 쪽으로 이동해 차내 유도등을 따라 가세요.
4. 출구 방향을 몰라도 유도등만 따라가기
지하철 내부 벽면이나 바닥 쪽엔 형광 유도등이 설치돼 있어요. 어둡고 연기가 자욱해도 빛이 보이기 때문에 방향 감각이 없을 땐 이걸 따라가면 됩니다. 지하철 화재시 행동요령 대피하는 방법으로 무척 중요합니다.
실제로 얼마나 자주 일어날까요?
국가철도공단 자료에 따르면 2022년 기준, 전국 지하철 노선에서 발생한 화재 또는 의심 사고는 총 17건입니다. 그 중 서울 지하철이 9건으로 절반 이상을 차지했고, 사고 유형은 열차 내 전기 합선, 스파크, 선로 부근 발화 등이 대부분이었어요.
또한 행정안전부 발표에 따르면, 문제가 생겼을때 평균 대피시간은 약 4분 30초이며, 대부분의 승객들이 심리적 패닉 상태로 대피 방향을 몰라 우왕좌왕한다고 보고됐습니다. 이 때문에 사소한 지연도 큰 인명 사고로 이어질 수 있다고 해요. 그래서 지하철 화재시 행동요령 대피하는 방법을 알아두는 것이 좋아요.
너무 익숙한 장소에서 일어난 공포
2021년 5월, 대구 도시철도 3호선의 열차 내부에서 전기 합선으로 인해 연기가 피어오른 사고가 있었습니다. 당시 차량 내에는 약 60명의 승객이 있었고, 그 중 4명이 연기 흡입으로 병원으로 옮겨졌습니다. 조사 결과, 비상탈출구를 인지하지 못한 탑승객들이 출입문 근처에서만 몰려 있었고, 일부는 휴대폰으로 촬영하며 지체된 사례도 있었습니다. 이처럼 지하철 화재시 행동요령 대피하는 방법을 알고 있느냐에 따라 생사가 갈릴 수도 있습니다.
'이건' 꼭 알아두세요!
‘설마 내가 겪겠어?’라는 생각이 가장 위험할 수 있습니다. 실제 사례에서도 보셨듯, 지하철 화재시 행동요령 대피하는 방법은 알고 있는 것만으로도 생존 확률을 크게 높일 수 있습니다.
이 글을 읽으신 김에 출근길이나 귀가 중 한 번쯤 비상구 위치 확인해보시면 어떨까요? 5초 만 투자해도 그 5초가 당신을 지켜줄 수 있습니다.
자주 묻는 질문 FAQ
Q1. 안에서 불이 났을 때, 바로 선로로 뛰어내려야 하나요?
A1. 아닙니다. 기관사나 방송의 안내가 있을 때까지 기다리는 게 안전합니다. 전차선 감전 위험이 있으므로 함부로 선로로 내려가면 더 위험할 수 있어요. 위의 지하철 화재시 행동요령 대피하는 방법 내용을 참고하세요.
Q2. 비상문은 어디에 있나요? 잘 안 보여요.
A2. 대부분 객차 출입문 옆 하단이나 측면에 비상문 개방장치가 설치돼 있습니다. 커버를 열면 수동으로 문을 여는 레버나 버튼이 있어요.
Q3. 연기 속에서 방향을 못 찾을 때는 어떻게 해야 하나요?
A3. 바닥이나 벽 쪽 유도등을 따라 움직이세요. 시야 확보가 안 되면 몸을 낮춰 천천히 기어가는 것도 방법입니다.
'생활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주차할 곳 없을때, 대체 주차장 찾는 현실 꿀팁 (0) | 2025.06.02 |
---|---|
곰팡이 음식 먹었을 때 대처방법 '이렇게' 하세요! (0) | 2025.06.02 |
자외선 지수 높은시간 및 차단 방법, 선크림 올바르게 바르는 법 (0) | 2025.06.01 |
자외선 지수 확인 방법, 선크림보다 중요한 이 습관 (0) | 2025.06.01 |
신비복숭아 효능 및 보관법, 상하지 않게 보관하는 똑똑한 방법 (0) | 2025.06.01 |